[Golang Web 개발] 7. Web개발 기본 정리 2
https://machineislearning.tistory.com/16
[Golang Web 개발] 6. Web개발 기본 정리 1
Web개발에 대해서 이해를 저어어언혀 못하고 있기에, 웹개발을 공부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지식에 대해서 공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. (참고한 사이트는 하단에 URL 첨부해두었습니다.) 0. Front End와
machineislearning.tistory.com
Web개발 기본 정리 1 에 이어서 정리합니다.
이번 파트에서는 FrontEnd와 BackEnd의 연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너무 잘 정리해주신 즐거운인생님의 포스트가 있어 정리한 내용입니다.
1. Webserver 아키텍쳐
웹서버의 기본 구조는 Webserver, WAS, DB Server로 나뉩니다.
1) Web Server
- Client PC에서 동작 할 정적 Web Page를 생성하여 Client PC에 전달 합니다.
* 정적 Web Page란?
- Web Brower만 있으면 볼 수 있는 page를 말합니다.
즉, Web Server와 통신이 필요 없는 Page입니다.
- 정적 Page에서는 CSS, javascript가 동작을 하나 동작 결과는 Server에 저장되지 않습니다.
2) Web Application Server(WAS)
- Web Server의 요청에 따라 동적 Data를 생산하여 Web Server에 전달합니다.
3) DB Server
- Web Appcliaion Server에 생성 한 동적 Data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거나
Web Appcliaion Server에 필요 한 동적 Data를 읽을 때 사용합니다.
2. 1,2,3 tier 서버
- tier(계층)는 컴포넌트들의 물리적인 분리를 뜻 합니다.
- 결론 적으로 Server을 물리적으로 얼마나 분리했냐에 따라서 1, 2, 3 tier가 나누어지는 것입니다.
1) 1-tier
- (Web Application Server(WAS) + DB Server)가 물리적 한 Server에 동작하는 구조
- WAS가 Web Server 및 Web Application Server의 역할을 모두 수행합니다.
2) 2-tier
- Web Application Server(WAS)와 DB Server가 각각의 물리적 Server에 동작하는 구조
- WAS가 Web Server 및 Web Application Server의 역할을 모두 수행합니다.
3) 3-tier
- Web Server와 Web Application Server 와 DB Server가 각각의 물리적 Server에 동작하는 구조
3. Frontend와 Backend의 동작 Flow
- 빨간색 -> Get Query을 통한 Web 페이지 요청
- 녹색 -> Get Query에 대한 Web 페이지 응답
# 출처
https://doitnow-man.tistory.com/248
[Web 개발] 1. frontend와 backend 연결 개념
1. 목표 - web개발에 있어서 frontend와 backend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- 이번 Post는 web개발 함에 있어서 front-end와 back-end를 연결 원리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post입니다. 2. Web Serv..
doitnow-man.tistory.com